2014년부터 달라지는 예비군 훈련 No.7 (조기퇴소, 복장, 훈련조회·신청)

올해로 예비군 6년차 아저씨 구이오 입니다.

2008년 공군에서 2년 3개월간의 군 복무를 마치고, 그 다음해인 2009년부터 1~4년차에 착실하게 2박3일간 동원훈련을 다녀오고, 작년 5년차부터는 동원훈련이 아닌 향방작계, 향방기본훈련을 받고 있습니다.

 

 

제가 뜬금없이 예비군 훈련 이야기를 꺼낸 것은 바로 내일 남양주에 위치한 '금곡 예비군 훈련장'으로 6년차 향방기본훈련을 받으러 가기 때문입니다. 올 초에 예비군과 관련 된 기사 몇개를 읽었지만 당시엔 예비군 날짜가 나오지 않아 크게 관심을 두고 있지 않다가 막상 내일 오랜만에 예비군 훈련을 가려니 궁금한 부분이 생겨 찾아보다가 올해부터 예비군 훈련이 조금 바뀐 부분이 있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우선 이 글을 읽으시기 전에 예비군 1~4년차 분들은 제가 지난번 작성한

 

군 제대후 예비군 교육훈련시간 (로가기)

 

을 우선 읽어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2014년부터 변경된 예비군 훈련 No.7>

 

 

 

 

1. 마일즈 등 과학화 장비를 활용한 예비군 훈련 실시

 

모든 예비군 훈련이 과학화 장비를 활용한 예비군 훈련이 실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가 내일 가게되는 '금곡 예비군 훈련장'은 전군 최초의 예비군훈련대로 지역내 예비군을 훈련시키는 예비군 훈련 전담부대로써 일반 예비군 훈련장과 많이 다른 곳인데요.

KCTC에서나 경험 할 수 있던 마일즈 장비와 함께 시가지 전투 훈련이 도입되었으며, 실내 영상모의사격장이 준비되어 있다고 합니다.

아직까지는 이곳 한곳만 과학화 예비군 훈련장이 마련되어 있지만 앞으로 2024년까지 44곳으로 확대하여 실시 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이건 내일 예비군 훈련에 다녀오고나서 다시한번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 측정식 합격제 및 조기퇴소제 실시

 

예비군을 떠오르면 복장이 불량하고 말도 안듣는 아저씨들을 떠오르실겁니다.

맞습니다. 예비군복은 입는 순간 어제까지만해도 반듯한 신사였던 분들도 짝다리에 침을 뱉게 되는 마법의 옷이죠.

이렇게 훈련에 불성실(?)한 태도의 예비군을 변화시키기 위해 측정식 합격제 및 조기퇴소제를 실시하여, 훈련 우수자는 집에 일찍 보내주고 훈련 불합격자는 추가 교육을 하는 어마어마한 제도가 생겼습니다.

주변에 먼저 다녀온 친구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한창 현역들의 훈련과 버금가는 모습을 보여준다고 합니다.

역시 짬밥은 그냥 먹은게 아니였나봅니다. 몸이 기억해 몸이..

 

 

 

 

 

 

 

3. 대학생 중 졸업유예자나 유급자는 "방침일부 보류자"로 분류 후 지역예비군 편성

 

군 제대 후 복학을 하게되면 일반 예비군 훈련을 받지않고 학교에서 따로 하루 예비군훈련을 받아왔었습니다.

저는 대학교와 시기가 맞지 않아, 학교에서 한번도 예비군 훈련을 받지 못하고 졸업 후 동원을 갔었는데, 친구들을 보면 엄청 부러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졸업유예자나 유급자의 경우 직업보호훈련 대상자가 아니기 때문에 향방기본훈련만 받는 것이 아니라 정상적으로 일반 예비군 훈련을 받게 된다고 합니다.

 

 

 

 

 

 

 

4. 소집점검훈련시 교통비(5,000원) 지급

 

소집점검시 교통비를 지급 한다고 합니다. 너무 작은 금액이라 작년에 소집점검에 갔었을 때 줬는지, 안줬는지 기억이 나질 않는데..

적은 금액이긴 하지만 준다니 반가운 소식입니다만.. 저는 남은 소집점검이 없어서 해당이 되지 않네요.

 

 

 

 

 

 

 

5. 예비군 훈련 연기 사유 확대

 

올해 처음으로 1년차 예비군은 교육, 회의, 시험 등의 사유를 증명 할 수만 있다면 1년에 6회까지 훈련연기 신청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아 그리고 휴일 예비군도 증가를 한다고 합니다.

이 부분도 해당 사항이 없기 때문에 패스~

 

 

 

 

 

 

 

6. 이메일 통지서 & 인터넷 훈련조회, 신청

 

지금까지 우편물 또는 사람이 직접 훈련 통지서를 전달했지만, 앞으로는 이메일을 활용하여 훈련 통지를 한다고 합니다.

뭐 기존에도 이메일 및 휴대전화번호를 동대에 등록하면 알려주기는 했었지만 점차 의무적으로 확대가 될 것 같습니다.

또한 예비군 홈페이지를 통해 훈련이 가능한 날짜를 조회하고 본인이 원하는 날짜로 훈련을 지정하여 받을 수가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예비군 홈페이지 접속 후 로그인 하셔서 '나의 훈련 일정'을 확인해보세요.

 

 

 

 

 

 

 

7. 예비군복 상의를 하의밖으로 꺼내 입는 것 허용

 

신형 군복의 경우 상의를 하의 밖으로 꺼내 입지만, 저처럼 구형 군복의 경우 무조건 상의를 바지 안으로 넣어 입어야만 했습니다.

움직임에 불편하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한창일 때 입고 나온 군복이 4~6년이 지나서 맞을리가 없겠죠.

아마 답답함이 덜 할 것 같네요.

 

 

지금까지 2014년부터 달라진 예비군 훈련 No.7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제가 내일 예비군 훈련을 다녀오고나서 얼마나 바뀌었는지, 또 과학화 훈련장인 '금곡 예비군 훈련장'은 어땠는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NS Powered by DNSEver